12장 예지용 화위귀 (례지용 화위귀)
有子曰
禮之用 和爲貴
先王之道 斯爲美 小大由之
有所不行 知和而和 不以禮節之 亦不可行也
유자왈
예지용 화위귀
선왕지도 사위미 소대유지
유소불행 지화이화 불이례절지 역불가행야
유자가 이르길
예절의 쓰임은 조화로움이 중요하다.
선왕의 도는 이를 아름답다 여기고 작은일 큰일 모두 이를 따랐다.
행하지 못한 것이 있으니, 조화를 이해함으로써 조화를 추구했지 예절로써 조화를 추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역시 행해질 수 없다.
- 爲 : ~하다. 위하다.
- 斯 : 이, 이것
- 由 : 말미암다.
- 先王 : 요 순 우 등의 성왕을 이름.
禮之用 과 有所不行 知和而和 不以禮節之 亦不可行也의 해석이 꽤나 어렵다.
1. 禮之用 예지용 은 말그대로 예의 쓰임인데,
1-1.
'예로써 얻을 수 있는 효용' 을 말하는 지,
1-2.
'예를 쓰는 일 자체'를 말하는 지 조금 헷갈린다.
1-1의 경우, 예를 잘 행해서 얻을 수 있는 것 중 가장 중요한 것이 和(조화)라는 것이고,
1-2의 경우 예를 다하는 과정에 和하게(조화롭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이겠다.
2. 有所不行 知和而和 不以禮節之 亦不可行也 은 크게 두 가지로 해석되는 것 같다.
2-1.
(和가 있음에도) 행해지지 않는 바는 和를 알고 和하되 이를 禮로 節(조절, 절제) 하지 않아서 당연히 안되는 것이다. (禮의 쓰임은 和가 가장 중요하니까)
2-2.
和를 앎으로써 和하려 했지만 禮節예절로써 和하려고 하지 않아서 당연히 잘 안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읽은 학이 구절 중 가장 어렵고, 이해가 안된다. 다음에 다시 읽어보자.
조언을 주실 수 있는 분은 댓글로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