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언수재1 10장 시기소이 子曰 視其所以 觀其所由 察其所安 人焉廋哉 人焉廋哉 자왈 시기소이 관기소유 찰기소안 인언수재 인언수재 공자 이르길 그가 하는 바를 보고, 그가 지나온 바를 보고, 그가 편해하는 바를 살펴보면 사람됨을 어디에 숨기겠는가? 사람됨을 어디에 숨기겠는가? 以: 여기서는 '하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由: 여기서는 '지나다'라는 뜻이라고 한다 焉: 어디 언 廋: 숨다 숨기다 수 哉: 어조사 재(반문의 어기) 우선 형식적으로는 처음으로 특정 어구가 연속되어 반복된 것 같다. 以이(하다), 由유(지나다), 安안(편하다) 세가지. 다시 정리해 사람의 행실과 지나온 이력, 그가 편해하고 만족해하는 것을 살펴보면 그 사람을 잘 판단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한편 視시 觀관 察찰 역시 순서대로 더욱 세밀히, 자세히 들여다보는 것을.. 2022. 3.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