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무백'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맹무백2

5~8장 맹의자, 맹무백, 자유, 자하 문효 / 위정의 효란 무엇일까 이번엔 5~8장을 정리해보려 한다. 각각 맹의자, 맹무백, 자유, 자하와 공자의 효에 대한 문답이다. 공자의 답 풀이 맹의자 무위無違; 어기지 않는 것 生 事之以禮 死 葬之以禮 祭之以禮; 살아서는 예로 섬기고, 돌아가시면 예로 장사지내고 예로 제사지내는 것 맹무백 부모유기질지우 父母唯其疾之憂 부모는 오직 자식이 아프지 않을까 걱정한다 자유 경敬(+양養) 공경하는 마음이 없이 봉양하는 것은 가축을 키우는 것과 다를 바없다. 자하 색난 色難 부모 앞에서 낯빛을 부드럽게 하는 것(공손히 모시는 태도)이 효다. 5장 맹의자 맹의자가 효를 물었을 때, 공자의 답은 무위無違 였다. 그리고 번지에게 추가로 더한 설명은 '살아서는 예로 섬기고, 돌아가시면 예로 장사지내고 예로 제사지내는 것'이었다. 5장 글을 쓸 때 .. 2022. 3. 11.
6장 맹무백문효 孟武伯問孝 子曰 父母唯其疾之憂 맹무백문효 자왈 부모유기질지우 맹무백이 효에 대해 물으니 공자 이르길, 부모는 오직 그가 아프지 않을까를 걱정한다. 孟武伯: 맹손씨 10대로 맹의자孟懿子의 아들. 시호가 武무, 항렬자가 伯백이라고 한다. 다르게는 중손체仲孫彘 라고 불렸다고 한다. 거의 가장 짧은 장 중 하나인 것 같다. 맹무백도 처음 나왔다. 효가 뭔지를 물으니 부모는 자식 건강 걱정 뿐이라고 답했다. 해석은 크게 두 가지 인 것 같다. 1. 부모는 자식 건강 걱정 뿐일 정도로 너를 끔찍이 아끼시니 늘 그를 생각하며 보답하는 것이 효다. 2. 다른 걱정 안끼치고 그저 건강 걱정이나 할 정도 되는 게 효다. 지금까지 읽은 논어에서 공자의 말하는 방식을 보면 1번 보다는 2번이 더 적절한 해석같기도 하다. 부모.. 2022. 3.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