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1 7장 자유문효 子游問孝 子曰 今之孝者 是謂能養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 자유문효 자왈 금지효자 시위능양 지어견마 개능유양 불경 하이별호 자유가 효에 대해 물으니 공자 이르길 "오늘의 효란 봉양할 수(먹여 살릴 수) 있음을 이른다. 개나 말에 이르기까지 모두 먹여 살릴 수 있으니, 공경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구별할 것인가?" 子游: 자유, 언言이 성이요 이름은 언偃. 언언이다. 자가 자유子游이다. 추가로, 학이에 2장을 포함해 여러번 나왔던 유자有子도 자는 자유子有다. 이름은 유약有若. 者: 이 자는 孝子같은 뜻이 아니라, 음절을 조정하는 어기조사이다. 학이 2장 에서 효제야자孝弟也者 의 者자도 같은 용법이다. 養: 기르다, 봉양하다 양 皆: 다, 모두 개 2장 기위인야효제 有子曰 其爲人也孝弟而好犯上者 鮮矣 不好犯.. 2022. 3.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