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季康子問
使民敬忠以勸 如之何
子曰
臨之以莊則敬
孝慈則忠
擧善而敎不能則勸
계강자문
사민경충이권 여지하
자왈
림지이장즉경
효자즉충
거선이교불능즉권
계강자가 묻길,
백성들이 공경스럽고 충성하며 부지런하게 하려면 어찌해야됩니까?
공자 이르길,
장중히 그들을 대하면 공경스러워질 것이며
효성스럽고 자애롭게 대하면 충성할 것이고
좋은사람을 등용하고 그렇지 않은자를 가르치면 부지런해질 것이다.
- 季康子 : 계강자. 계손비季孫肥, 시호가 康
- 勸: 힘쓰다, 부지런하다 권
- 臨: 내려다보다, 다스리다, 통치하다 림
- 莊: 엄하다, 엄정하다 장
계강자는 노나라의 대부로, 자신이 바라는 바가 명확하고 그에 대해 적당한 조언을 구할 줄 아는 사람이었던 것 같다.
공자의 답이 어찌보면 별거 아니지만
그 핵심에는
남이 어떠하길 바랄 때, 남이 아니라 스스로의 행동을 통해 남을 변화시킬 수 있고 그렇게 해야 한다는 점이 있는 것 같다.
경충이권敬忠以勸 하길 바라면
내가 莊장, 孝慈효자, 擧善而敎不能거선이교불능 하면 된다는 아주 멋진 답이다.
어찌보면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같이 나부터 다스려야 한다는 가르침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논어 > 위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장 애공문왈 (0) | 2022.04.24 |
---|---|
18장 자장학간록 (0) | 2022.04.23 |
17장 유 회여지지호 (0) | 2022.04.22 |
16장 공호이단 사해야이 (0) | 2022.04.12 |
15장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 (0) | 2022.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