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吾十有五而志於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
자왈
오십유오이지어학 삼십이립
사십이불혹 오십이지천명
육십이이순 칠십이종심소욕불유구
공자가 이르길
"나는 열다섯에 배움에 뜻을 두었고, 서른살에 자립하였고,
마흔에는 혹하지 않았고, 쉰에는 하늘의 뜻을 알았고,
예순에는 귀에 거슬리는 소리가 없었고, 일흔에는 마음이 원하는 대로 따라도 법도에 어긋나는 법이 없었다.
有 : ~와, 그리고, 또
而 : 순접 접속사, 순서가 순차임을 의미
踰 : 넘다, 지나가다 유
矩 : 모나다, 법도 구
정말 유명한 장이라 시간을 들일 것도 많지 않았다.
지학 립 불혹 지천명 이순 종심
일상생활에서도 실제로 나이를 일컬을 때 많이 사용하는 말이기도 하니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할 것 같진 않다.
다만 다시금.. 저 하나 하나가 얼마나 어려운 건지, 과연 저 중 일부라도 비슷한 때 성취한 사람이 얼마나 될 지 궁금해졌다.
진지한 자기성찰과 정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반응형
'논어 > 위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 맹무백문효 (0) | 2022.03.03 |
---|---|
5장 맹의자문효 (0) | 2022.02.23 |
3장: 도지이정 제지이형 민면이무치 (0) | 2022.02.18 |
2장 시삼백 일언이폐지 왈사무사 (0) | 2022.02.17 |
1장 위정이덕 (0) | 2022.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