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태그의 글 목록 (4 Page)
본문 바로가기

논어34

4장 오일삼성오신 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 증자왈 오일삼성오신 위인모이불충호 여붕우교이불신호 전불습호 증자(증삼, 자여)가 이르길, 나는 하루 세 번 스스로를 돌아보니 다른 이를 위해 일을 계획하는 데 최선을 다했는지, 친구를 사귀면서 믿음직 했는지, 익히지 않고 전하진 않았는지 돌아본다. 謀: 꾀, 계략 이 글은 제자들 앞에서 한 말이 전달된 것이라고 보는 게 자연스럽다고 한다. 사자성어로 사용되는 '삼성오신', '전불습호'가 여기서 비롯되었다. 傳不習乎는 '전해 받은 것을 익히지 못하진 않았는지' 정도로 더 많이 해석되는 것 같다. 본인은 이보다는 위 문장들과 같은 맥락에서 해석되는 게 자연스럽다고 생각한다. 2021. 12. 9.
3장 교언영색 子曰 巧言令色 鮮矣仁 자왈 교언영색 선의인 공자가 이르길 화려한 언변과 잘 꾸며진 낯빛에는 '인'이 드물다. 그 유명한 사자성어 '교언영색'이다. 2021. 12. 9.
2장 기위인야효제 有子曰 其爲人也孝弟而好犯上者 鮮矣 不好犯上而好作亂者 未之有也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 유자왈 기위인야효제이호범상자 선의 불호범상이호작란자 미지유야 군자무본 본립이도생 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유자(유약, 자유)가 이르길 사람의 됨됨이가 효성스럽고 공손하면서 윗사람을 범하길 좋아하는 사람은 필히 적을 것이다. 윗사람을 범하길 좋아하지 않으면서 난장을 만들길 좋아하는 사람도 전무하다. 군자는 근본을 힘써 구하고 근본이 바로서야 도가 생겨나니 효성스럽고 공손한 것은 아마도 '인'의 근본일 것이다. 爲人은 우리말에서도 ‘사람의 됨됨이’, ‘됨됨이로 본 그 사람’이라는 뜻 鮮은 ‘싱싱한 물고기’를 뜻하는 글자( 어묵을 파는 회사 '대림선'의 선이 이 鮮이다) 로, 깨끗하다, 선명하다 라는 뜻이 주로 .. 2021. 12. 7.
1장 학이시습지 2022-03-24 수정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자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공자가 이르길 배우고 늘 실천하면 기쁘지 않겠는가 멀리서 찾아오는 벗이 있다면 즐겁지 않겠는가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으면 군자가 아니겠는가 自 : ~로 부터, ~서부터 자 논어의 각 편의 제목을 각 편의 첫 장의 두 자로 하기 때문에, 첫 편의 제목인 學而는 이 장에서 비롯된 것이다. 논어 전체의 가장 첫 장으로, 누구라도 한번 쯤은 논어의 시작인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 혹은 학이시습지 ... ' 을 들어봤을 것이라 생각한다 중국역대인물 초상화 : 네이버 지식백과 조운, 손부인, 방통, 곽원갑, 포대화상, 초선, 장개석, 여몽.. 2021.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