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xiv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0

8장 군자부중즉불위 子曰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자왈 군자부중즉불위 학즉불고 주충신 무우불여기자 과즉물탄개 공자가 이르길 군자가 진중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고, 배워도 단단하지 않다. 충신을 주主로 하고, 본인보다 못한 친구를 두지 말고, 허물이 있다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威 : 위엄, 권위, 권세 固 : 굳다, 단단하다, 굳어지다 憚 : 꺼리다 앞의 7장까지는 하나의 이야기를 한다는 느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는데, 8장은 그렇지 않다. 군자가 重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고, 배워도 견고하지 않고. 충과 신을 중시하고 훌륭한 친구를 사귀고, 자성하며 살라는 말인데 본인 생각엔 이를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보다는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2021. 12. 13.
7장 현현이색 / 현현역색 子夏曰 賢賢易色 事父母 能竭其力 事君 能致其身 與朋友交 言而有信 雖曰未學 吾必謂之學矣 자하왈 현현이색 (현현역색) 사부모 능갈기력 사군 능치기신 여붕우교 언이유신 수왈미학 오필위지학의 자하(복상)가 이르길 어짊을 높이 사고 여색은 가벼이 보며, 부모를 섬길 때는 온 힘 다할 수 있고, 군주를 섬길 때는 온 몸 바칠 수 있고, 친구와 더불어 사귈 때는 말에 믿음이 있다면 아무리 못배웠다 해도 나는 반드시 그를 배운 사람이라 칭하겠다. 賢 : 어질다, 존경하다 -> 賢賢 : 어짊을 높이 사다. 色 : 色情, 女色, 情慾 색정, 여색, 정욕 事 : 섬기다 致 : 내주다 雖 : 아무리 ~ 하여도 謂 : 이르다, 일컫다, 설명하다 현현이색 / 현현역색은 현현이색 : 어짊은 높이사고, 여색은 가벼이 보다. 현현역색.. 2021. 12. 13.
6장 제자입즉효출즉제 子曰 弟子 入則孝 出則弟 謹而信 汎愛眾而親仁 行有餘力 則以學文 자왈 제자 입즉효 출즉제 근이신 범애중이친인 행유여력 즉이학문 공자가 이르길 젊은이는 집에선 부모께 효도하고 밖에선 어른을 잘 모시고 행동을 조심해 믿음직하고 여러 사람을 널리 사랑하고 인을 가까이 해야하며 이를 다 실천하고도 만약 여력이 있다면 학문에 힘써야 한다. 謹 : 삼가다, 자성하다, 금하다 / 자중하여 행동을 조심해야 한다는 것으로 보인다. 則以學文의 학문이 정확히 무얼 가르키는 지 잘 이해되지 않는다. 본인이 공자 시대의 學文이 무얼 이야기하는 지 정확히 모르기 때문인 것 같다. 어쨋든 孝弟, 謹, 信, 汎愛眾, 親仁 다 하기도 어려워 보이므로 아직 본인은 거기까지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될 것 같기도 하다. 2021. 12. 10.
5장 도천승지국 子曰 道千乘之國 敬事而信 節用而愛人 使民以時 자왈 도천승지국 경사이신 절용이애인 사민이시 공자가 이르길 천승의 나라를 다스릴 때는 삼가 일을 하고 신용이 있어야 하고 아껴 쓰고 사람들을 사랑하며 백성을 때에 맞게 부려야 한다. 천승지국千乘之國 : 천 대의 수레가 있는 나라, 즉 제후국을 가리킨다. 보통 만승지국萬乘之國 은 천자의 나라를 가리킨다. 경사敬事 : 삼가 일을 함.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0879538d1484372ae20589954696018 使 : 부리다. 경사이신敬事而信, 절용애인節用愛人, 사민이시使民以時 모두 정치적 지도자의 덕목으로 자주 언급되는 사자성어 이다. 세 성어 모두 각각 敬, 節, 時 라는 글자를 통해 절제와 중용의 중요성을 강.. 2021. 12. 9.
4장 오일삼성오신 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 증자왈 오일삼성오신 위인모이불충호 여붕우교이불신호 전불습호 증자(증삼, 자여)가 이르길, 나는 하루 세 번 스스로를 돌아보니 다른 이를 위해 일을 계획하는 데 최선을 다했는지, 친구를 사귀면서 믿음직 했는지, 익히지 않고 전하진 않았는지 돌아본다. 謀: 꾀, 계략 이 글은 제자들 앞에서 한 말이 전달된 것이라고 보는 게 자연스럽다고 한다. 사자성어로 사용되는 '삼성오신', '전불습호'가 여기서 비롯되었다. 傳不習乎는 '전해 받은 것을 익히지 못하진 않았는지' 정도로 더 많이 해석되는 것 같다. 본인은 이보다는 위 문장들과 같은 맥락에서 해석되는 게 자연스럽다고 생각한다. 2021. 12. 9.
3장 교언영색 子曰 巧言令色 鮮矣仁 자왈 교언영색 선의인 공자가 이르길 화려한 언변과 잘 꾸며진 낯빛에는 '인'이 드물다. 그 유명한 사자성어 '교언영색'이다. 2021. 12. 9.
2장 기위인야효제 有子曰 其爲人也孝弟而好犯上者 鮮矣 不好犯上而好作亂者 未之有也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 유자왈 기위인야효제이호범상자 선의 불호범상이호작란자 미지유야 군자무본 본립이도생 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유자(유약, 자유)가 이르길 사람의 됨됨이가 효성스럽고 공손하면서 윗사람을 범하길 좋아하는 사람은 필히 적을 것이다. 윗사람을 범하길 좋아하지 않으면서 난장을 만들길 좋아하는 사람도 전무하다. 군자는 근본을 힘써 구하고 근본이 바로서야 도가 생겨나니 효성스럽고 공손한 것은 아마도 '인'의 근본일 것이다. 爲人은 우리말에서도 ‘사람의 됨됨이’, ‘됨됨이로 본 그 사람’이라는 뜻 鮮은 ‘싱싱한 물고기’를 뜻하는 글자( 어묵을 파는 회사 '대림선'의 선이 이 鮮이다) 로, 깨끗하다, 선명하다 라는 뜻이 주로 .. 2021. 12. 7.
1장 학이시습지 2022-03-24 수정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자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공자가 이르길 배우고 늘 실천하면 기쁘지 않겠는가 멀리서 찾아오는 벗이 있다면 즐겁지 않겠는가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으면 군자가 아니겠는가 自 : ~로 부터, ~서부터 자 논어의 각 편의 제목을 각 편의 첫 장의 두 자로 하기 때문에, 첫 편의 제목인 學而는 이 장에서 비롯된 것이다. 논어 전체의 가장 첫 장으로, 누구라도 한번 쯤은 논어의 시작인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 혹은 학이시습지 ... ' 을 들어봤을 것이라 생각한다 중국역대인물 초상화 : 네이버 지식백과 조운, 손부인, 방통, 곽원갑, 포대화상, 초선, 장개석, 여몽.. 2021. 12. 7.
반응형